Categories: 정부지원금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변경사항 총정리|신청자격·지원금·주의사항

안녕하세요, 리타입니다 😊
요즘 청년들 사이에서 가장 뜨거운 정책 중 하나,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
2025년에는 이 제도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오늘은 청년내일저축계좌의 2025년 변경사항과 신청방법, 지원금액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놓치지 말고 끝까지 함께 해주세요!

✅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정 소득 이하의 청년이 매달 10만 원을 3년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매칭 지원금 최대 36만 원까지 적립해주는 제도입니다.
저소득 청년의 자립 기반을 마련해주는 자산형성 지원사업이에요.

✅ 2025년 주요 변경사항 총정리

2024년과 비교해 2025년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어요:

구분 2024년 2025년 변경내용
대상자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중위소득 120% 이하로 완화
신청 기간 연 1~2회 제한 모집 연중 수시 신청 가능 검토 중
자격 연령 만 19~34세 동일 (단, 병역기간 제외 최대 39세까지 허용)
자산 기준 가구 재산 2억 이하 2.5억 이하로 완화 (비수도권)
중도 해지 패널티 전체 정부지원금 반환 3회 이상 납입 지연 시만 일부 회수로 완화

📌 특히 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청년이 참여 가능해졌습니다!

✅ 지원 내용: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

본인 납입액 정부지원금 총 적립금 (3년 기준)
매월 10만 원 매월 30~36만 원 최대 약 1,440만 원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는 월 30만 원, 그 외 참여자는 월 36만 원까지 지원
🔹 근로·취업 상태를 유지하며 3년간 납입해야 전액 수령 가능

✅ 자격요건 상세 정리

① 연령 요건

  • 만 19~34세 청년 (1989.1.1~2006.12.31 출생자 기준)
  • 병역 이행자의 경우 이행 기간만큼 연장 허용

② 소득 요건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20% 월소득 (원)
1인 2,870,416
2인 4,735,922
3인 6,111,414
4인 7,486,906

📌 본인뿐만 아니라 가구 전체의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③ 재산 요건

  • 수도권: 2억 5천만 원 이하
  • 비수도권: 2억 이하

✅ 신청방법과 절차

① 신청 시기

  • 2025년 3월부터 연중 수시 접수 검토 중
    (기존처럼 1차, 2차 모집 형식도 병행 가능)

② 신청 방법

  1.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 접속
  2. 청년내일저축계좌 메뉴 → 신청
  3. 본인 인증 및 신청서 작성
  4. 소득·재산 심사 (최대 2개월 소요)
  5. 계좌 개설 및 저축 시작

📌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도 가능

✅ 주의사항 및 유의점

  • 월 10만 원 납입은 정해진 날짜(보통 10일 전후)에 해야 함
  • 3회 이상 납입 지연 시 패널티 적용되어 일부 정부지원금 회수
  • 연 1회 이상 근로·취업 상태 증빙 필수
  •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일부 또는 전액 환수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단기근무자도 신청 가능한가요?

네, 1개월 이상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Q2. 부모와 따로 살지만 건강보험은 부모 명의입니다. 신청할 수 있나요?

이 경우도 부모 포함한 가구 기준으로 소득·재산 심사가 진행됩니다.

Q3. 중도에 실직하면 어떻게 되나요?

실직하더라도 일정 기간 내 재취업하면 지원 유지가 가능해요.
하지만 장기 미취업 시 지원 중단 가능성이 있어요.

✅ 마무리하며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들에게 3년 뒤 최대 1,400만 원 이상의 자산을 마련해주는
매우 유용한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소득 기준 완화, 신청 방식 다양화 등으로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리타가 정리한 내용을 참고해서 꼭 신청해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

👉 2025년 청년 월세 지원 조건과 신청 방법
👉 2025 기초생활수급자 자격과 혜택 한눈에 보기

na4787

Recent Posts

2025 산후조리비 지원금 지역별 총정리|서울·경기·부산 등 비교 안내

😊 안녕하세요, 리타입니다! 오늘은 2025년 산후조리비 지원제도(Korean Government’s Postnatal Care Support Program)를 지역별로 비교해보려고 해요.출산…

1개월 ago

2025년 출산급여 제도 완전정리

✨ 안녕하세요, 리타입니다! 😊 오늘은 2025년 출산급여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나는 직장인이 아닌데도 출산급여 받을 수…

1개월 ago

국민행복카드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 총정리

안녕하세요, 리타입니다 🌸오늘은 예비엄마와 가족들이 꼭 알아야 할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바로 국민행복카드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개월 ago

아동수당 vs 양육수당|지원대상·지급금액·신청방법 차이 완벽정리

안녕하세요, 리타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아동수당과 양육수당 차이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두 제도 모두…

2개월 ago

2025 교육급여 신청자격|학용품비·교복비·수업료 지급 총정리

안녕하세요, 리타입니다 😊오늘은 교육급여 신청자격과 학용품비, 교복비 지급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2025년부터 교육급여 제도도 일부 개편되면서 지원…

2개월 ago

장애인연금 2025 신청자격부터 복지카드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

안녕하세요, 리타입니다 😊오늘은 장애인연금과 복지카드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장애가 있는 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부…

2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