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리타입니다! 😊
맞벌이 가정, 한부모 가정, 또는 급하게 아이를 맡겨야 할 일이 생겼을 때
정부에서 지원하는 ‘아이돌봄서비스’, 들어보셨나요?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시간제·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의 신청 조건, 지원금, 이용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아이돌봄서비스란?
아이돌봄서비스는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전문 아이돌보미가 가정에 방문해 돌봄을 제공하는 정부지원 서비스입니다.
육아공백을 최소화하고, 부모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로
시간제와 종일제로 나뉘며,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지원금 비율이 달라져요.
✅ 서비스 유형별 상세 내용
구분 | 시간제 | 종일제 |
---|---|---|
주요대상 | 일반 맞벌이, 일시적 돌봄 | 취업한 한부모, 다자녀 가구 등 |
돌봄시간 | 하루 2시간 이상, 주 40시간 이하 | 하루 6시간 이상, 주 40시간 |
이용시간 | 평일 08:00 ~ 20:00 | 맞벌이 근무 시간대 |
지원방식 | 시간당 이용료 지원 | 월 단위 정액 지원 |
정부지원율 | 소득 기준에 따라 15~90% | 소득 기준 따라 차등 적용 |
📌 공휴일, 야간 돌봄은 추가 비용 발생 가능
✅ 2025년 소득 기준별 정부지원율
기준중위소득 수준 | 정부지원 비율 |
---|---|
50% 이하 | 90% 지원 |
51~75% | 80% 지원 |
76~100% | 70% 지원 |
101~150% | 60% 지원 |
151~200% | 50% 지원 |
201~250% | 40% 지원 |
250% 초과 | 지원 없음 (전액 본인부담) |
📌 예시: 중위소득 100% 이하인 3인 가구는 약 월 5,092,845원 이하
✅ 신청 자격과 절차
① 신청 대상
-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
- 보호자가 직장, 질병, 학업 등으로 돌봄이 어려운 경우
- 한부모가정, 장애인 부모, 다자녀 가정 우선
② 신청 방법
-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또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청서 작성 + 소득 확인 서류 제출
- 가정 방문 상담 및 서비스 이용계약
- 돌보미 배정 후 서비스 시작
✅ 서비스 요금과 예시
구분 | 기본 이용요금 | 정부지원 80%일 경우 |
---|---|---|
시간제 (1시간) | 11,000원 | 2,200원 |
종일제 (월 80시간) | 880,000원 | 176,000원 |
📌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실부담금이 달라져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조부모가 돌보는 경우에도 신청 가능한가요?
원칙적으로 부모가 부재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단, 일시적 상황은 예외 인정될 수 있어요.
Q2. 이중 지원이 가능한가요?
유사한 육아서비스(예: 어린이집 긴급보육)와 중복지원 불가입니다.
Q3. 주말이나 야간에도 가능한가요?
일부 지자체는 추가 비용으로 주말·야간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요.
✅ 마무리하며
아이를 키우는 일이 가장 소중하지만, 가장 힘든 일이기도 하죠.
2025년 정부의 아이돌봄서비스는 육아의 짐을 함께 나누기 위한 제도입니다.
시간제든 종일제든, 나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돌봄을 신청해서
육아도 일도, 지치지 않도록 리타가 응원할게요!